Veteran actor Kim Myung-gon returns to the spotlight
Kim Myung-gon, the former culture minister who played Yu-bong in the 1993 hit art house film “Seopyonje” is back and has been keeping himself busy on stage.
Most recently, the 68-year-old actor, director and scriptwriter appeared in the theatrical performance “Black and White Tea Room — Counsellor” last month.
After wrapping up the play, Kim joined the changgeuk “Chunhyang” as a director and scriptwriter.
The traditional Korean opera, or changguek, will begin on May 14 at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to commemorate the 70th anniversary of the theater.
JoongAng Ilbo, an affiliate of the Korea JoongAng Daily, caught up with Kim to talk about his ongoing project during a recent rehearsal of “Chunhyang.”
The opera is based on “Chunhyangjeon” or “The Tale of Chunhyang.” It is a love story between a man and a woman from different classe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Kim is nearing his 70th birthday, but he is still full of energy and has a lot of things on his to-do list.
“I haven’t realized my dream to leave a masterpiece of my own. I have a long way to go,” said Kim. Back in college, Kim happened to join a drama club and came across pansori (traditional narrative singing) for the first time. Kim learned the traditional singing techniques from pansori master Park Cho-wol (1917-1983) for 10 years, and pansori has become an important axis of his acting career.
But people used to call him “insane” for pursuing pansori after gradua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High School, two prestigious academic institutions.
He didn't listen to their objections, and formed a theater troupe called Arirang in 1986. He was happy to become a starving artist. Little did he know that pansori would bring him fame and fortune years later.
Kim made a name for himself with the film “Seopyonje,” for which he wrote the script and starred in as the protagonist named Yu-bong. Yu-bong deliberately blinds his daughter to force her to stay focused on pansori.
Upon its release, the film became the first Korean film to attract over 1 million people to theaters.
It premiered at a time when there were no multiplex movie theaters in the country. “Seopyonje” was released at a theater called Dansungsa that showed the film on a single screen.
But the spotlight didn’t change his life that much. Whether he became famous or not, Kim said he was just a clown. "I don’t want people to define me as an actor, writer and director. I just want to express myself freely regardless of those titles.”
The following are edited excerpts from the interview.
I believe “Chunhyangjeon” is the best among all the remaining pieces of pansori. I think it is a well-composed piece that is even better than the works of Giuseppe Verdi and Giacomo Puccini. I tried to keep the traditional melodies sung by hundreds of masters in the past, but changed all the lyrics into hangul. I also changed all the characters created during ancient times into modern ones so that audiences in their 20s and 30s could relate to the story.
If you have to choose the best lines of your life, what would they be?
It’s from “Seopyonje.” There is this line that goes, “If you can reach the peak when it comes to singing pansori, it’s much better than being famous or being rich.” It is my philosophy. An artist can’t achieve anything without being completely immersed in his chosen field. Even if you can’t earn money and people don’t recognize you, if you go crazy in your own world and continue your work, you will someday find happiness in it as an artist.
You were a struggling artist for a time, but then you earned fame and fortune with “Seopyonje,” right?
I never imagined I could earn those things with “Seopyonje” when I wrote the script. I wasn’t thinking about fame, popularity or money when I was doing theatrical performances or studying pansori. I just did my thing and was able to achieve those things in return for hard work. But fame and money didn’t affect my life. They helped me out a little, but I was still the same poor actor [even after the success of 'Seopyonje.']
What has influenced your life the most?
It’s a dream for my work. Since I was young, I dreamed of leaving a masterpiece behind me just like the ones written by Shakespeare or Goethe. I haven’t made the dream come true yet, so the dream always lingers in me. Like Goethe’s “Faust,” I want my piece to contain my whole life and for it to inspire mankind.
Is there a reason for you to put the value of life in art?
I feel alive when I’m doing theater. It’s my happy place.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 worked as a reporter for a magazine for one year and taught German for two years at a school. I realized I couldn’t stand a moment without theater. I came down with depression and a stomach disorder [while pursuing other jobs.] Whether I can make a living or not, I thought that I should live by doing plays. I didn’t really care about whether others recognized me or not.
You served as the head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between 2000 and 2005 and the culture minister between 2006 and 2007. What was it like to work in the public sector as an actor?
They were valuable experiences but I had to refrain myself from doing creative work. Now I want to make up for the time that I lost as a creator — I have a list of things to do. If chances are given to me, I want to keep acting, but actors can’t ask for roles. We should be needed by someone else. If no chances are given to me, I want to create those chances for myself as a scriptwriter and a director.
How do you spend your day when you’re away from work?
I try to live like a stoic and work out whenever I can. I have to act on camera and stand on stage, but if I lose my health, my life as an actor is over. Keeping in shape is an essential part of my career.
BY LEE JI-YOUNG [kjdculture@joongang.co.kr]
김명곤 “극장장·장관 다 해봤지만 난 가난한 연극인”
서편제’의 유봉, 전 문화관광부 장관 김명곤(68)이 다시 무대에서 바빠졌다. 지난달 22~26일 서울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연극 ‘흑백다방’에 출연한 데 이어 오는 14일 초연을 앞둔 국립극장 70주년 기념 창극 ‘춘향’의 극본·연출도 맡았다. 서울 장충동 국립창극단 연습실에서 만난 그는 여전히 팔팔한 현역이었다. “불후의 명작 하나 이 세상에 남기고 죽으면 좋겠다는 꿈을 아직 못 이뤘다”면서 “해야될 게 많다”고 했다.
국립창극단과는 20년 만의 협업이다. 춘향전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창극으로 공연된 작품인데, 신작은 어떻게 다른가.
“춘향전은 우리 판소리 중 백미다. 베르디·푸치니 오페라보다 훨씬 더 잘 작곡된 음악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작품에서도 수백 년 동안 수백 명의 명인 명창들이 갈고 닦은 전통 가락의 선율은 최대한 살렸다. 하지만 가사는 아름다운 우리말로 싹 손질했다. 또 봉건시대에 그려진 인물들을 현대 캐릭터로 바꿔 요즘 20, 30대가 자기들의 사랑 이야기로 느끼도록 했다.”
그는 10여년 간 명창 박초월(1917~ 1983)에게 판소리를 배운 소리꾼이다. 대학 연극반 시절 빠져든 판소리는 예술인생에서 중요한 축이 됐다. 1986년부터 극단 ‘아리랑’을 꾸리며 “가난한 연극쟁이”를 자처한 그가 대중 스타로 이름을 알린 것도 판소리 영화 ‘서편제’(1993) 성공 이후다. 그가 시나리오를 쓰고 주연한 ‘서편제’는 서울 단성사 단관 개봉으로 한국영화 사상 첫 100만 관객 돌파란 대기록을 세웠다.
그는 ‘내 인생의 명대사’도 ‘서편제’에서 찾아냈다. 소리를 위해 딸의 눈을 멀게 한 비정한 아버지 유봉이 “야 이놈아, 쌀 나오고 밥 나와야만 소리 하냐? 지 소리에 지가 미쳐가지고 득음을 하면 부귀공명보다도 좋고 황금보다도 좋은 것이 이 소리속판이여, 이놈아!”라고 호통치는 대목이다. 그는 이 대사에 대해 “평소 내 생각”이라며 “내 삶과도 진하게 연결돼 있는 대사”라고 했다. “예술가가 자신이 선택한 분야에 미치지 않고선 뭔가를 이룰 수 없다. 그러는 동안 돈도 못 벌고 세상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자기의 세계에 자기가 미쳐서 꾸준히 하다보면 예술가로서 느끼는 행복이 그 속에 담겨져 있다”는 것이다.
예술의 가치가 부귀공명보다 좋다고 ‘서편제’ 대사를 썼는데, 이 작품으로 명예와 경제적 보상을 얻지 않았나.
“대본 쓸 때만 해도 이 영화로 부귀공명이 오리라고는 꿈에도 생각 안 했다. 과거 내가 소극장 연극을 하거나 판소리 공부를 하거나 영화를 만들거나 할 때 명예나 인기나 돈을 생각했을까? 안한 것 같다. 그냥 열심히 하다보니 결과적으로 생겨난 것 같다. 그렇다고 그 것들이 그 뒤 내 인생을 지배했을까? 그것도 아닌 것 같다. 조금 나를 도와주기는 했고 풍성하게는 했지만 결국 나는 다시 가난한 연극배우다.”
인생을 지배하는 것은 무엇인가.
“작품에 대한 꿈이다. 어려서부터 셰익스피어나 괴테처럼 불후의 명작 하나 이 세상에 남겨놓고 죽으면 좋겠다는 꿈을 꿨다. 아직 그 꿈을 못 이뤘으니까 그 꿈이 늘상 나를 지배하는 것이다. 괴테의 『파우스트』처럼 내 인생이 다 담긴, 인류에게도 공감 줄 작품을 남기면 좋겠다.”
그가 추구하는 예술론의 키워드는 ‘광대’다. “춤 추면 춤 광대, 소리 하면 소리 광대, 줄 타면 줄 광대라고 하듯 특정 예술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창작 활동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에서 ‘넓을 광(廣)’ ‘큰 대(大)’의 ‘광대’를 표방한다. “배우다, 연출이다, 작가다, 이런 구분 없이 그냥 자유롭게 자기를 표현하고 싶다”는 그는 이번 신작 ‘춘향’을 두고서도 “창극이다, 오페라다, 하는 구분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했다.
인생의 가치를 예술에 두게된 이유가 있나.
“나는 연극을 할 때 가장 살아있는 느낌을 받고 행복하다. 대학 졸업 후 잡지사 기자 1년, 독일어교사 2년을 한 적이 있다. 그 때 나는 연극을 하지 않으면 도저히 살지 못하겠구나, 연극 아닌 다른 삶은 견딜 수 없구나, 라고 체험했다. 실제 그 때 우울증과 위병에 걸리기도 했다. 돈을 벌든 못 벌든, 남이 알아주든 말든, 연극을 하면서 살아야겠다고 생각했다.”
주변에서 “왜 좋은 학교(전주고-서울대) 나와 좋은 직장 다니다가 다 때려치고 연극을 하냐, 미친 놈 아니냐”는 소리까지 들어가며 돌아온 무대를 잠시 내려와야 했던 때도 있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국립극장 극장장(2000~ 2005)과 문화관광부 장관(2006~2007)을 지낸 기간이다. 그는 “그 7~8년 간 인생의 소중한 경험을 했지만, 창작자로서는 하고 싶었던 것을 마음껏 펼치지 못하고 숨어있던 시간이었다”며 “지금 뒤늦게 하려다보니 하고 싶은 작품들이 쌓였다”고 말했다.
그에겐 배우로서 직접 연기를 하고 싶은 바람도 크다. “기회가 있으면 배우로 계속 활동하고 싶다”면서 “그런데 배우는 남이 하자고 해야 할 수 있는 수동적인 존재 아닌가. 기회가 없어 못하는 건 내가 작가로서, 연출가로서 만들고 싶다”고 했다. 그 바람을 이루기 위해 건강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하는 그의 목소리는 결연하기까지 했다.
“어쨌든 절제하고 틈 나는 대로 운동을 하죠. 배우로서 촬영을 하고 무대에서 연기를 해야 하는데, 건강을 잃으면 바로 끝나는 거니까요. 건강을 지키는 건 내 직업상 아주 필수적인 거죠.”
이지영 기자